고물가, 고금리 시대에 힘든 나날을 보내고 계실
전국의 자영업자, 소상공인 여러분!
정부가 어려운 경영 환경에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고자
다양한 지원책을 내놓았는데요.
그중에서도 '부담경감 크레딧'은 현금성 지원으로
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오늘은 이 부담경감 크레딧을 어떻게 받고,
어디에 써야 하며, 무엇을 주의해야 하는지
헷갈리는 부분을 Q&A 형식으로 속 시원하게 알려드릴게요!

Q1: 부담경감 크레딧,
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?
A: 아쉽지만 모두가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.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.
1. 지난해 또는 올해 연 매출이 3억 원 이하인 소상공인
2. 현재 사업을 운영 중인 소상공인
(장사를 그만뒀거나 쉬고 있는 분은 제외)
3. 올해 새로 사업을 시작했다면, 5월 1일 이전에
사업자 등록을 마친 소상공인
총 1조 5660억 원이 투입되어 약 311만 1000여 명의 소상공인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니,
해당되신다면 꼭 신청하세요!
Q2: 부담경감 크레딧을 받으면
어디에 쓸 수 있나요?
A: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해요! 부담경감 크레딧은
현금처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포인트가 아닙니다.
* 전기, 가스, 수도 요금 등 공과금 납부
* 4대 보험료 납부
신청할 때 선택한 카드회사에 포인트 형태로 지급되며,
해당 카드로 공과금이나 4대 보험료를 결제하면
포인트가 먼저 차감되는 방식입니다.
⚠️ 주의하세요!
마트에서 장을 보거나 식당에서 밥을 먹는 등
일반 소비에는 이 포인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
오직 공과금과 4대 보험료 납부에만 사용 가능하다는 점,
꼭 기억해주세요! 다른 비용을 결제해도 크레딧은
사용되지 않는답니다.
Q3: 부담경감 크레딧,
어떻게 신청하나요?
A: 신청 방법은 아주 간편해요!
* 신청 시작일: 오는 7월 14일부터 접수 시작
* 신청 방법: 사업 홈페이지 또는 소상공인24에서
온라인으로 신청
* 필요 서류: 따로 제출할 서류는 없어요.
온라인 신청 후 지원 대상임이 확인되면
등록한 카드에 크레딧이 자동 지급됩니다.
💡 팁: 접수 시작일로부터 5일간은 신청이
폭주할 수 있으니,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를
기준으로 하는 5부제를 잘 확인하고 신청하세요!
부담경감 크레딧,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!
1. 연 매출 3억 원 이하 사업자 대상
2. 공과금 및 4대 보험료 납부 전용 포인트
3. 현금처럼 일반 소비에 사용할 수 없음
4. 7월 14일부터 온라인 신청 시작 (5부제 확인)
이번 부담경감 크레딧이 자금난으로 힘든 소상공인 여러분의
어깨를 조금이나마 가볍게 해주는 단비 같은 존재가
되기를 바랍니다. 꼼꼼하게 확인하시고
꼭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[참고] 정부의 소상공인 경영부담 완화
3대 지원책
1. 부담경감 크레딧 (최대 50만 원 상당):
공과금, 4대 보험료 납부 지원
2. 배달/택배비 지원 (최대 30만 원):
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대상
(5월 19일부터 기준 상향)
3. 비즈플러스 카드 (1000만 원 한도): 신용도 낮은
소상공인을 위한 신용카드 발급
- 기업은행에서 발급가능
(신용점수 595점~839점, 최소 매출액 기준 충족 시)
'세상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걸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👩🎓상속세와 증여세,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? (면제 한도, 계산 방법, 추가 공제까지!) (2) | 2025.06.28 |
---|---|
퇴직연금 의무화, 모든 사업장에 적용될까? 근로감독관 7천명 증원??! (4) | 2025.06.25 |
빚의 굴레에서 벗어날 기회? 이재명 정부의 대규모 채무 탕감 정책, 명과 암 (6) | 2025.06.20 |
🚨 긴급 뉴스! 이재명 정부 첫 추경 핵심, '민생회복 소비쿠폰' 드디어 풀린다! 🚨 (8) | 2025.06.20 |
💸 월급쟁이 지갑은 언제쯤 두툼해질까? 근로소득세 물가연동제, 과연 감세 해법일까? (4) | 2025.06.18 |